국토 가치를 더하다 행복한 변화로 가득한 세상 공간정보로 펼쳐질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지식공간

공간정보 활용분야

home > 지식공간 > 공간정보소개 > 공간정보 활용분야
프린트

공간정보 활용분야

  • 지도를 포함한 공간정보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인터넷 가상공간’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함에 따라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기존의 공간정보는 위치확인 및 국토관리 등 기존 산업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최근의 공간정보는 개인 내비게이션, 로봇 활용, UHealth 등 차세대 산업을 창출하고 있다. 공간정보산업이 발전하면, 보다 정밀한 공간정보 기반이 조기에 구축되어 다른 산업의 고도화를 앞당길 수 있다.
  • 현재는 특히, 소셜 혹은 메시지, 네트워크 기능과 결합하여 1차적인 서비스 외에 사용자들의 가치가 포함된 부가적 정보를 더함으로써 효용가치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서비스의 활용분야를 커뮤니케이션 부문, 산업 부문, 공공 부문으로 구분하여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커뮤니케이션부문 활용

특정 지역 및 공간에서 사건 사고나 재난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메시지, 위치정보가 기록된 사진 및 영상 등의 공간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집중호우 상황에서 소셜 네트워크로 정보를 공유
집중호우 상황에서 소셜 네트워크로 정보를 공유

모바일이나 웹에서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여행지로 가상 여행을 해봄으로써 효과적인 여행계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글 지도를 활용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면 도보, 차량, 대중교통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스트리트 뷰’를 활용해 해당 여행지를 미리 답사 할 수 있다.

지도를 활용한 여행정보 활용
지도를 활용한 여행정보 활용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근처에 다른 사용자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페이스북(Facebook)의 ‘플레이스(Place)’를 통해 특정장소를 ‘체크인’하면 주변 매장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할인 쿠폰을 제공 받는 것 등이 가능하다.

페이스북 플레이스
페이스북 플레이스

공간정보와 SNS를 결합한 서비스로, 선거나 정치활동에 있어 소셜 미디어와 공간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미국 중간선거(2010.11.2.)에서 포스퀘어(Foursquare)는 투표 장소에 체크인한 이용자에게 “투표했습니다(I voted)” 배지(온라인 배지)를 배포하고, 체크인한 이용자 수를 지도에 표시하여 투표를 독려하였다.

포스웨어 투표지도 화면
포스웨어 투표지도 화면

또한 포스퀘어는 ‘순 방문자 수, 성비, 상위 방문자, 최근 방문자, 날짜 · 시간별 방문 수’ 등 오프라인 매장을 대상으로 리포트를 제공하며, 옥외광고에 실시간 사진과 메시지를 업로드 하여 광고 및 정보공유 효과를 증대하였다.

포스웨어 옥외광고
포스웨어 옥외광고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운동한 거리, 속도, 연소한 열량을 계산 · 측정하며 사용자간 정보공유를 통해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나이키 플러스(Nike+ GPS)는 Nike+ 센서 칩을 신발에 설치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의 가속 센서와 GPS의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제공한다.

NIKE+GPS
NIKE+GPS

산업부문 활용

산업부문 활용 전자 칩을 활용한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키(key), 티켓구매, 카드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로 확장 가능하다. 자동차를 원격으로 진단 및 제어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자동차에 제공하며 길안내 및 위치정보 등 모바일 텔레매틱스로 구현할 수 있다.
엔콜(Ncall)트럭 모델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장근무 및 물류체계를 개선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중, 한 가지인 ‘엔콜트럭’ 시스템은 위치기반서비스와 업무지원 시스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쌍방향 통신시스템을 이용해 실시간 차량과 화물정보를 제공하여 물류체계 개선 및 유류에너지 절감 효과를 준다.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운동한 거리, 속도, 연소한 열량을 계산·측정하며 사용자간 정보공유를 통해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나이키 플러스(Nike+ GPS)는 Nike+ 센서 칩을 신발에 설치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의 가속 센서와 GPS의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제공한다.

구글 위치기반 배너
구글 위치기반 배너

공공부문 활용

한국 광명시의 U-통합관제시스템 한국의 광명시에서는 ‘U-통합관제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점검하고 문제 발생 시 즉각 대처하는 종합시스템을 구축하여 시설물 관리, 교통정보 수집, 어린이 보호, 재난재해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였다. 특히, CCTV를 활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수배차량 DB와 연동해 범행 차량을 찾을 수 있는 범죄예방체계로 확장하였다.
서울도시철도공사의 Smart Talk and Flash 한국 서울도시철도공사의 STnF(Smart Talk and Flash)는 스마트폰 기반 지하철유지관리시스템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시설물 고장신고부터 현장조치 결과입력은 물론 이력조회, 분석, 예방점검 계획까지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대응조치 후 결과를 즉시 입력, 분석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증진하고, 현장에서 신고를 받고 즉시 대응조치를 취함으로써 고객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ata.gov 웹사이트 미국 오바마 정부는 앞장서서 공공정보의 개방과 이용 활성화를 위해 공간정보데이터 기반의 Data.gov를 2009년 5월부터 시작하였다. Data.gov는 GeoWeb에 기반을 두고 운영하고 있으며, 이 모델은 비효율 사례로 비판받던 기존의 GeoSpatial One-Stop(GOS, 예: geodata.gov) GIS 모델의 폐기를 의미하고 있다.
미국의 원유유출 방제 애플리케이션 미국 정부는 멕시코 만 기름유출 사고로 발생한 원유유출 방제 작업을 위해 개발한 위치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도입하였다. 유출된 석유의 GPS 좌표를 캡처하여 해당 정보를 산타로사(Santa Rosa) 카운티의 응급지원센터로 전송하고, 유출된 석유가 근방의 수로 및 강어귀로 이동하기 전에 석유 방제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Directgov의 교통정보 애플리케이션 영국 지방정부는 지역의 상세한 지도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시민들은 이를 이용하여 도로 환경을 개선하는데 참여할 수 있는 픽스마이스트리트(Fixmystreet.com)라는 위치기반 웹서비스를 시행하였다. 시민들이 ‘가로수 손상’,‘도로훼손’ 등의 사항을 웹사이트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이용하여 위치 표시하면, 지방정부는 이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영국 런던대학의 공간분석센터에서 추진 중인 프로젝트인 ‘가상 런던 프로젝트(Virtual London Project)’는 전자정부(e-Government)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3D GIS를 활용해 런던시의 건물, 도로 등을 데이터화하여 관광, 도시계획, 대국민홍보 등의 콘텐츠에 적용하고 있다.영국은 2009년 12월부터 국가 공식 웹 사이트 ‘Directgov’를 통해 교통정보 등 공간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Virtual Singapore 싱가포르 정부는 정확한 시뮬레이션 및 효과적인 도시계획·관리를 위해 고정밀 3차원 가상도시 플랫폼(Virtual Singapore) 서비스를 시행하였다. 이는 3D 공간정보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공기관 보유 데이터 및 일반 시민들로부터 얻는 클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통합·활용하여 데이터를 구축한다. 재난상황 시뮬레이션이나 도시계획 그리고 에너지 잠재력 분석 등에 사용 빈도가 높으며 이를 통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타부문 활용

공간정보의 활용분야를 전 세계적 수준, 여러 나라 이상에 걸친 지역권 수준, 국가 수준, 지방자치단체 수준, 민간기업 수준 등 5가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전 세계

세계 총인구 예측, 전 세계 토지이용계획, 지구환경 감시, 온난화 예측, 엘니뇨 감시, 사막화 감시, 판(plate) 이동 감시, 오존층 파괴 감시, 전 세계 삼림 파괴 감시, 전 세계 곡물 예측 등

지역권

국제하천유역개발 및 관리, 대륙 간 고속도로 및 철도 계획, 대륙규모 대기오염 및 해양오염, 산성비 감시, 빙산 감시, 황사 감시, 핵 오염 감시 등

국가

국토계획, 국세통계, 환경, 자연자원관리, 각종 기본지도 제작, 대규모 재해대책, 사회기반정비사업계획, 대규모 공공투자, 치안 및 국가 안전계획 등

지방자치단체

도시계획, 지역계획, 철도, 상하수도, 가스, 전기공급시설 등 공공시설의 관리, 부동산세관리, 방재 감시, 경찰 및 소방서비스, 폐기물처리시설관리, 행정창구서비스, 긴급의료서비스, 문화재 보전 등

민간기업

차량자동항법장치(Car Navigation), 주택지도, 택배서비스, 슈퍼마켓 은행 등의 상권분석, 고객관리, 권역별 마케팅, 관광안내서비스 등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의견을 수렴하여 사이트 운영에 반영하겠습니다.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